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심폐소생술(CPR)이 중요한 이유

    정지는 예고 없이 찾아오며, 심장이 멈춘 후 4~6분 이내에 뇌 손상이 시작됩니다. 이때 빠른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뇌에 산소가 있는 혈액을 공급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이런 주요 장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심폐소생술로 도와줍니다. 즉, 신속한 대응이 생사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심폐소생술(CPR) 순서 – 올바른 절차와 방법

    심폐소생술은 크게 “C-A-B” (가슴압박(Compressions) – 기도확보(Airway) – 인공호흡(Breathing)) 순서로 진행됩니다.

    ① 반응 확인 및 119 신고

    환자를 가볍게 흔들며 의식과 호흡을 확인합니다.

    반응이 없고 정상적인 호흡이 없다면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주변에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있다면 가져오도록 요청합니다.

    ② 가슴압박(Compressions)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힌 후 가슴 정중앙(흉골 하단부) 위에 손을 올립니다.

    양손을 깍지 끼고 팔을 쭉 편 상태에서 5~6cm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합니다.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압박하며, 30회 압박 후 인공호흡을 시행합니다.

    ③ 기도 확보(Airway) 및 인공호흡(Breathing)

    한 손으로 환자의 턱을 들어 올리고, 다른 손으로 이마를 눌러 기도를 엽니다.

    코를 막고 입을 완전히 덮은 뒤, 1초 동안 가슴이 부풀어오를 정도로 숨을 붑니다.

    2회 인공호흡을 실시한 후 다시 가슴압박을 진행합니다.

    3.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및 주의사항

    자동심장충격기(AED)는 심정지 환자의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리듬을 되찾도록 돕는 장치입니다.

    ① AED 사용 방법

    전원을 켜고 음성 안내를 따릅니다.

    패드를 환자의 맨가슴에 부착합니다. (오른쪽 쇄골 아래, 왼쪽 갈비뼈 아래)

    기기가 심장 리듬을 분석하는 동안 환자에게 손을 떼야 합니다.

    “전기 충격” 지시가 나오면 주위 사람들에게 떨어지도록 한 후 버튼을 누릅니다.

    충격 후 즉시 가슴압박을 재개합니다.

    ② AED 사용 시 주의할 점

    물기가 있는 피부는 닦아낸 후 패드를 부착해야 합니다.

    인공심박조율기(페이스메이커)가 있을 경우, 기기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패드를 부착합니다.

    털이 많다면 패드가 밀착되도록 면도하거나, 패드를 강하게 눌러 부착합니다.

    어린이는 소아용 패드를 사용하고, 없을 경우 성인 패드를 가슴 앞뒤로 부착합니다.

    4. Q&A로 배우는 심폐소생술

    Q1. 심폐소생술은 누구나 할 수 있나요?

    네,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은 기본적인 방법만 숙지하면 일반인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Q2. 가슴압박을 너무 세게 하면 부러질 수도 있나요?

    네, 갈비뼈 골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생명을 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가슴압박을 중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Q3. 인공호흡을 꼭 해야 하나요?

    가슴압박만으로도 도움이 되지만, 훈련을 받은 경우라면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Q4. AED가 없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AED가 없더라도 가슴압박을 지속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19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멈추지 않고 시행해야 합니다.

    Q5. CPR을 언제까지 계속해야 하나요?

    환자가 회복되어 정상적인 호흡과 반응을 보일 때까지

    119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구조를 이어받을 수 있는 훈련된 사람이 올 때까지

    Q. 지하철역에 사람이 쓰러져 있을때, 제세동기를 가져와 사용해야 할까요?

    물론입니다.  요즘은 지하철역 등 공공장소에 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고 사용법이 그림으로 되어 있어

    따라하기가 쉽습니다. 

    일단, 쓰러진 사람 몸에 부착하면, 신기하게도 기계가 작동이 필요한지 스스로 감지하여 진행됩니다. 

     

     

     

    반응형